박민혀기

RaspiberryPi(CM4) OS설치 본문

Raspiberry Pi

RaspiberryPi(CM4) OS설치

박민혀기 2022. 9. 10. 23:18

1. RpiBoot 설치

Ÿ  아래 경로를 통해 rpiboot_setup.exe 를 다운 받은 후에 실행하여 RpiBoot 드라이버를 설치

Ÿ  드라이버 설치 시 굉장히 오래 걸림, 설치에 문제가 생긴 것처럼 보이지만 오랜 시간 대기하면 설치됨

(설치 시 return 0 이라는 메시지가 나와도 오류가 아니므로 무시)

https://github.com/raspberrypi/usbboot/raw/master/win32/rpiboot_setup.exe

 

2. RPIBOOT 핀을 LOW 로 설정

 

Ÿ   보드에서는 위 그림과 같이 J13의 맨 오른쪽 핀에 점퍼를 설정하여 RPIBOOT 핀을 LOW 로 설정

 

1번 스위치만 ON

3. 라즈베리 파이 CM4 모듈에 전원을 인가한 후에 라즈베리 파이의 USB OTG 포트를 PC에 연결

Ÿ   앞의 그림의 J13 오른쪽의 USB OTG 포트와 PCUSB 포트를 연결

Ÿ   연결 직후에는 PC에서 아무런 반응이 없음

 

 

4. RpiBoot 실행

Ÿ   위의 그림과 같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중 rpiboot를 찾아서 실행

Ÿ   콘솔 창이 뜨고 명령이 실행된 후에 드라이브 2개가 추가됨

Ÿ   둘 중 하나는 Windows에서 인식 불가

Ÿ   드라이브 복구가 필요하다는 메시지가 나와도 무시함

 

 

5. Raspberry Pi Imager 실행

Ÿ   아래 경로를 통해 실행 파일을 다운 받은 후에 실행하여 Raspberry Pi Imager를 설치

 

https://downloads.raspberrypi.org/imager/imager_latest.exe

 

Ÿ   설치 후 Raspberry Pi Imager 실행

 

 

6. 라즈베리 파이 OS 설치

Ÿ   위의 그림과 같이 Operating System 에는 “RASPBERRY PI OS(32-BIT)” 선택

Ÿ   Storage 에는 연결된 CM4 모듈의 eMMC 드라이브를 선택 (“RPI-MSD-0001”)

Ÿ   Operating System, Storage 선택 후 WRITE 버튼 클릭하여 OS 설치

 

 

7. RPIBOOT 핀을 Floating으로 설정

Ÿ   라즈베리 파이 CM4 모듈의 전원을 OFF 한 후에 2번 단계에서 설정한 점퍼 핀을 제거하여 라즈베리 파이가 eMMC에서 부팅되도록 설정

Ÿ   라즈베리 파이 CM4 모듈에 전원 인가 후 OS 가 정상 부팅 되는 것을 확인